
영월역은 강원 영월군 영월읍 영월로 2106에 위치하고 있다. 영월역에서 영월터미널과의 거리는 버스로 약 10분 정도 이동하여야 한다. 영월역은 1956년 태백선의 보통역으로 영업를 개시하였고 1955년 준공한 영월역사는 단종의 능이 있는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한옥역사로 한자로 쓰인 역명판과 함께 궁서체로 새겨진 아름다운 한글 역명판으로 유명하다. 영월역사 광장에는 감삿갓 동상이 세워져 있고 영월역은 정선아리랑 열차가 정차하는 역이다. 영월역 광장 건너편의 덕포시장에서는 매달4일과 9일에 오일장이 선다. 영월은 봉래산에서 즐기는 패러글라이딩,자연 경관이 빼어나고 수량이 풍부하여 래프팅장소로 우리나라에서 으뜸으로 꼽히는 동강래프팅,한반도 전기카트체험장,한반도 뗏목체험 등의 모험을 즐길 수 있는 지역이다. ..

정읍역은 전북 정읍시 서부산업대로 305에 위치하고 있다. 정읍역은 호남선 구간의 정차 역으로 1912년 12월1일 보통 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2015년 호남고속철도가 개통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었는데 현재의 정읍역사는 선상역사로 2015년 9월 30일 준공되었다. 정읍역사는 전통 한옥의 처마형태를 계승하고 정읍(井邑) 지명의 의미인 우물 정(井)자를 형상화한 지붕으로 태양열과 지열을 활용하는 첨단역사로 만들어졌다. 정읍역에서 정읍버스터미널로 이동하려면 정읍역 역전지구대에서 횡단보도를 건너 중앙로로 약 8분 정도 걸어가면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정읍공용버스터미널이 나온다. 정읍의 주요 관광지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무성서원,내장산국립공원 등의 관광지가 있다. 특히 정읍시 칠보면..

목포버스터미널은 전남 목포시 영산로 525에 위치하고 있다. 1983년에 개장하였고 정식명칭은 목포종합버스터미널이고 목포종합버스터미널에서 목포역까지는 버스로 약 20정도 소요되고, 목포 연안여객선 터미널까지는 버스로 약 30분 정도 이동하여야 한다. 목포터미널은 고속과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농어촌 버스가 운행된다. 목포시는 전라남도 서남부의 무안반도 남단 영산강 하구에 위치하고 있는 시로 남쪽은 영암군,북쪽과 동쪽은 무안군,서쪽은 신안군의 여러 섬들과 물길로 연결되어 있다. 목포의 주요 관광지는 일제 강점기 목포의 역사문화와 생활 변천사를 알 수 있는 근대역사문화공간,국내 최장구간으로 북항에서 고하도 까지 3.23km의 해상케이블카,유달산둘레길,‘목포의 심장’목원동에 있는 옥단이길 등의 관광지가 있고..

진주고속버스터미널은 경남 진주시 동진로 16에 위치하고 있다. 진주고속버스터미널 1973년 11월 개장 이후 2번의 리모델링 공사를 하였음에도 건물이 많이 노후 되었다. 2025년에 현재의 위치에서 개양으로 이전하여 진주시외버스터미널과 고속버스터미널이 합쳐질 예정이다. 진주역에서 고속버스터미널을 가려면 시내버스 131번을 타면 한번에 직접 갈 수 있으나 버스 배차 시간이 길어서 진주역에서 자주 오는 100번이나 150번을 타고 가좌주공3단지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경상국립대가좌캠퍼스 후문 정류장에서 환승하는 것이 편리하다. 전주역에서 고속버스터미널까지 버스로 이동하면 약 20분 정도 소요된다. 그리고 진주고속버스터미널에서 부산사상이나 통영으로 이동하려면 진주고속버스터미널 길 건너 경상대 앞에서 직행버스를 이..

경주시외버스터미널은 경북 경주시 강변로 184에 위치하고 있다. 경주고속터미널과의 거리는 약300m 떨어져 있고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신경주역까지는 버스로 약 20분 정도 이동하여야 한다. 동서울 방면은 시외버스터미널을 이용하여야 하고 강남터미널 경부로 이동할 경우에는 고속버스터미널을 이용하여야 한다. 경주시는 신라천년의 고도로서 신라의 문화유산을 간직한 세계적인 문화관광도시이고 서쪽은 영천시,동쪽은 동해안,남쪽은 울산,북쪽은 포항시와 인접한다. 경주 주요 관광지는 불국사와 석굴암 외에 황룡사 역사 문화관, 국가 지질공원인 양남의 주상절리는 동해의 아름다운 해변을 따라 조성된 파도소리 길로 자연이 만든 걸작(돌조각상)주상절리를 감상할 수 있다. 그리고 남산 화강암,양북면에 위치한 국내 최초의 석굴사원인 골굴..

울산역은 울산 울주군 삼남읍 울산역로177에 위치하고 있다. 울산(통도사)역은 경부고속철도 2단계 사업으로 2010년11월 영업을 시작하였고 2016년 수서고속철 SRT가 운행되었으며 울산역사는 학성이라는 울산의 옛별호를 상징하는 학의 형상을 모티브로 건설되었다. 울산역은 일반열차는 운행하지 않고 고속철도 KTX와 SRT만 운행하는 역이다. 울산역에서 언양 불고기 특구 인근 언양시외버스터미널 까지는 버스로 약 10분정도 소요되고 울산시외버스터미널은 버스로 약 50분 정도 이동하여야 한다. 부산 서면까지 운행하는 동해선의 시발역인 태화강역까지는 약 버스로 1시간 정도 소요된다. 울산은 한반도 남동부에 위치한 광역시로 북쪽으로는 경주,서쪽은 청도와 밀양,남쪽으로는 양산과 부산과 인접해 있는 경남권 교통의 중..

양평터미널은 경기 양평군 양평읍 시민로 91에 위치하고 있다. 양평버스터미널은 1987년 10월 6일 영업을 시작하여 건물이 많이 노후 되었고 금강고속이 운영하고 있다. 양평역에서 양평터미널 가려면 양평역 2번 출구로 나와서 도보로 약 15분 정도 이동하면 양평버스터미널이 보인다. 양평역에서 택시로 양평터미널로 이동할 경우에는 1번 출구를 이용하면 되는데 약 8분정도 소요된다. 양평버스터미널은 다른 버스터미널과 다르게 시내버스 기점 운행노선이 많이 운행되고 고속버스는 운행되지 않는다. 경기도 동부에 위치한 양평군은 동쪽으로 강원도 홍천,횡성,원주와 접하고 있다. 양평에는 용문산자연휴양림,용문사,양평레일바이크,양평물맑은 전통시장(3,8일),양평곤충 박물관 등의 관광지가 있다. 양평버스터미널의 시외버스 시간..

서수원터미널은 경기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291에 위치하고 있다. 이마트 서수원점 건물 1층에 서수원터미널 매표소와 승차장이 있다. 보통 수원터미널하면 동수원 터미널을 말하고 동수원터미널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서수원터미널 이용객보다도 월등이 많다. 서수원터미널은 2005년 8월 25일 개장하였으니 이용객 저조로 노선운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에서 설상가상으로 코로나 19로 인하여 많은 노선이 운행이 중지되거나 감차되어 운영되고 있다. 서수원터미널은 이마트 건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서수원터미널은 비교적 편의시설들이 잘 갖추어져 있고 건물관리가 잘되어 있고 깨끗하다.서수원터미널에서 수원역까지는 버스로 약 15분이 소요된다. 서수원터미널 노선의 시외버스 시간표에 대하여 알아보자. 시외버스 시간표(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