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일상정보

천연가스의 종류 특징

처음나리다18 2019. 12. 31. 20:50

우리나라 도시의 도시가스, 버스, 및 청소차의 연료로 사용하고 있는 천연가스의 종류와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자.

천연 가스를 액체 상태로 만든 것을 LNG라고 한다.

천연 가스는 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땅 속에 묻혀 있는 가스를 말한다. 천연 가스는 보통 석유의 윗부분에 모여 있는데 주위의 암석에 의해 강한 압력을 받고 있다

천연가스는 천연적으로 산출되는 가연성 물질 중 상온·상압 하에서 가스 상인 것을 지칭하며메탄과 에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게 보면 온천 가스, 화산가스, 등도 포함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자연적으로 발생하여 지하에 매장되어 있는 혼합기체로 가스정에서 직접 채취 또는 액화 천연가스를 기화시킨 기체 상태의 연료용 가스를 의미한다.

천연가스는 유전가스, 구조성 가스, 수용성 가스로 분류되는데 유전가스의 특징은 원유 생산과 동시에 채취되며 에탄과 프로판이 상당 부분 포함되어있다.

그리고 구조성 가스의 특징은 지진구 내에 고압의 가스로 따로 분리되어 존재하는 가스이다.

수용성 가스의 특징은 지하수에 용해된 형태로 존재하는 가스이다.

천연으로 산출되는 탄산가스(이산화탄소), 화산활동에 의하는 분기(噴氣)에 수반되는 아황산가스(이산화황황화수소온천 가스 등은 제외되며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가연성 가스에 한정한다천연가스의 종류는 산출 상황으로부터 유전가스·가스전() 가스·탄전 가스로·가스전(田) 가스··가스전(田)가스· 분류된다유전가스는 석유와 생성 원인이 같고원유 속에 녹아 있는 것이 채유 때 채취되는 것이다.

그리고 구조상 가스는 지질구조 내에 고압의 가스로 따로 분리되어 존재하는 가스이다.

천연가스 종류로 분류되는 수용성 가스는 지하수에 용해된 형태로 존재하는 가스로 압력이 낮아 물을 펌핑하여 가스를 분리 채취한다.

천연가스의 생성과정은 석탄과 유사하며 석유가 생산될 때 함께 생산되기도 하지만대부분은 별도로 생산된다천연가스의 주요 성분이 약 80~85%의 메탄이며 오염물 함량이 적어 에너지원으로서 이용가치가 높다과거에는 기체 상태로 존재하여 저장 및 수송에 문제점이 있었으나최근에는 천연가스 액화 기술이 개발되어 대량 저장과 수송이 가능하다. LNG는 천연가스가 생성될 때 발생되는 수분과 질소 같은 불순물을 제거한 후 -162에서 액화시켜 수용지로 수송하여 다시 기화시켜 사용한다.

천연가스는 액화 과정에서 분진황 및 질소 등이 제거되어 연소 시 오염물질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무공해 연료이며공기보다 가벼워 누출되어도 쉽게 날아가며 발화 온도가 높아 폭발의 위험이 적어 안전하다그리고 천연가스의 경우 타 연료에 비해 경제성이 높아 산업 등에 다양하게 이용 가능하며 냉·난방용으로 사용할 경우 에너지 절약을 기대할 수 있다.

 

댓글
최근에 달린 댓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