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해외여행이 일반화되면서 여행사의 여행상품기획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여행상품기획은 여행상품의 개발이나 기존 상품의 개선방향 등을 결정하는 과정이며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확대하거나 수익성을 높여 기업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여행사의 기업경영활동이다.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이의 충족을 위한 주요 수단으로써 여행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여행은 일반화되기에 이르렀다. 이로 인해 여행시장은 더욱 세분화되고 있으며 여행자들의 욕구도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른 유통환경의 변화, 항공수요 변동에 따른 항송시장의 정책 변화, 여행업규제 정책의 변화 등 여행업을 둘러싼 대외 환경이 수시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한 여행상품이 필요하다.
새로운 여행상품을 개발하거나 기존의 여행상품을 개선할 때 반드시 먼저 고려해야 할 점은 여행자 편익이다. 여행자의 입장에서 필요로 하는 것을 우선 고려하여 여행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여행상품이어야 한다.
단순히 저렴한 상품이 아니라 상품의 기능과 가격을 비교하여 고객이 주관적으로 저렴하다고 느낄 수 있는 가치 중심의 가격을 책정해야 한다.
자사의 자금력, 개발능력, 판매능력, 생산관리능력(여행상품 운영 능력) 등을 기반으로 새로운 상품을 기획하고 개발 후 판매·관리할 수 있는지 냉정히 평가하여 기업의 여건에 따라 합리적인 상품의 구성과 유통·운영에 관한 기획을 이루어야 한다.
기획된 여행상품은 여행시장에서 타 경쟁사의 여행상품과 차별화되어 비교 우위에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여행상품은 독특하고 창조적으로 기획되어야 한다. 또한 기획된 상품이 현재의 판매 경로를 통한 유통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가도 고려하여야 한다.
과거에는 교통, 숙박, 식사, 관광 등의 여행소재가 완전히 결합된 형태의 상품을 선호하였다면 최근에는 개별여행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교통이나 숙박 또는 현지 관광만을 요구하는 여행자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따라서 다양한 유형의 여행상품기획이 요구된다.
무엇보다도 여행상품기획에는 소비자 입장에서 생각하고 기획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여행상품 기획시 여행사의 자금과 능력을 오버하는 무리한 기획을 하여서는 안된다.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 기술 (0) | 2019.09.28 |
---|---|
커뮤니케이션 유형 방법 (0) | 2019.09.25 |
커뮤니케이션 화법 (0) | 2019.09.21 |
건강한 생활양식 효과 (0) | 2019.09.18 |
한국사회의 근대적 교육 (0) | 2019.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