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hZz5D/btqxJUUfoU0/xrAvi8XXKtLaOR7neqLTd1/img.png)
한국사회의 근대적 교육의 태동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우리사회의 기대 수명의 상승이나 기술 발전 그리고 우리가 지금 논의하고 있는 교육팽창 같은 근대화 과정의 기본 특징은 유사해도 그것이 어떤 식으로 관철되고 어떤 속도나 강도로 진행되는지는 사회마다 매우 다르다. 역사적 경험이나 사회 구조에 따라 다른 양상들이 나타나는 것이다. 우선 우리나라에서 근대적 교육이 본격적으로 확장되기 시작된 때는 일제강점기이다. 이 시기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대략 세 가지 정도 특징이 눈에 띤다. 첫째로 우리 사회에 자생적으로 존재하던 교육기관들이 식민화로 인해 공식 교육기관으로 발전하지 못했다. 식민화 이전에 우리 사회의 민간교육은 서당이 주도했다. 둘째는 일제 총독부가 식민지 조..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OZrAY/btqxAek1V9M/km1yGZgHSBDNzKpZfuQhM0/img.jpg)
옛사람들은 역사를 제대로 공부하려면 10년은 책과 자료를 읽고 ,10년은 역사의 현장을 찾아 답사하고 ,10년은 글을 써야 한다고 하였다. 그만큼 과거의 시간과 공간을 발로 직접 체험하며 가깝고 생생하게 배우고 느끼는 답사가 중요하다. 역사기행으로 역사의 현장을 찾을 때는 언제나 그 일을 누가 했는가(행위의 주체),긴시간 가운데 왜 그때 그 일을 했을까(시간), 공간 중 왜 그곳에서 그 일 이 있었을까(공간),일을 했던 사람들은 어떤 관계를 맺으며 살아갔을까(사회관계), 이렇게 의문을 가지면서 행위의 주체와 시간과 공간을 꼼꼼히 실 펴 보아야 한다. 그리고 역사기행에서 역사의 현장을 찾을 때에 눈여겨보아야 할 중요한 핵심 요소는 자연과 사회의 공간이다. 현장을 찾는다는 것은 어떠한 공간을 선택하여 그곳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