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일상정보

참고문헌 작성방법

처음나리다18 2020. 10. 11. 19:40


대학생들의 캠퍼스 생활이 코로나 19로 인하여 온라인 수업으로 변경되면서 과제물 제출건이 많이 늘어났다.

과제물 작성이나 논문 쓸 때 참고한 논문,저서 ,기사,자료집 등의 참고사항을 논문이나 저서의 말미에 일정한 형식에 따라 제시하게 되는데 이를 참고문헌이라고 한다.


참고문헌의 작성방법은 일정한 형식으로 써야 한다.

학습분야에 따라서는 인용했거나 참조한 논저들을 주석란에서 완전 주석을 하여 소개하기도 하기 때문에 생략하기도 하지만 참고문헌란을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참고문헌 작성법에서 주의 할 점은 참고문헌에 열거되는 논저들은 그에 관계되는 서지 사항을 빠짐없이 다 수록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작성방법은 첫째 순서법 표기방법이다.

저자명을 먼저 쓰고 순서대로 저서명,출판지명,출판사명,출판년도를 쓴다

홍길동,『홍길동전』,서울,홍길동출판사,2020.


참고문헌 작성방법에서 둘째 저자명표기 방법이다.

저자명 표기 방법은 여러 사람이 공저했을 경우에는 그 저서에서 나열되어 있는 순서대로 이름을 다 밝히고 그 사이에 가운뎃점을 찍는다.

서양책의 경우에는 성과 이름의 순서로 나열하고 성과 이름 사이에는 쉼표를 두는 것이 원칙이다(:Hong,Gildong 또는 Hong,G).

 

참고문헌 작성방법에서 셋째 저서명의 표기 방법이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한자 문화권의 저서는 일반적으로 겹낫표로 표시하는데 때에 따라서는 아무런 표시를 하지 않기도 한다.

홍길동,홍길동전,홍길동출판사,2020.

 

참고문헌 작성방법에서 넷째 출판연도 표기방법이다.

출판연도 표기방법은 아라비아 숫자로만 기록한다.출판지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홍길동,홍길동전,홍길동출판사,2020.

 

참고문헌 작성법에서 논문이나 이에 준하는 것들의 표기방법이다.

필자명,“논문명”,게제지명,권호수,출판연도,게재면수.

논문명은 국문으로 쓰였건 서양어로 쓰였건 큰따옴표를 하는 것이다.

게재지명도 일종의 저서와 같은 것으로 취급하여 국문의 경우에는 겹낫표(『』)를 쓰고 서양어인 경우에는 이탤릭체로 한다.


논문참고문헌 배열 작성방법은 

국내 논저를 가장먼저 배열하고 그 다음에 한자문화권의 논저를,마지막에 서양어 자료를 배열한다.

국내 논저와 한자문화권의 논저는 필자 성명의 가나다순으로 하고 서양어 자료는 성의 알파벳 순서로 한다.

한 필자의 참고문헌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출간연도 순으로 배열한다.그러나 한 필자의 단독 집필 문헌과 공동 집필 문헌이 섞여 있을 경우에는 단독 집필 문헌을 출간연도 순으로 배열한 수 공동 집필 문헌을 적는다.

한 필자가 같은 해에 여러 개의 논저가 있을 경우에는 연도 뒤에 ,,또는 ‘a,b,c’ 등을 붙여주어 구별한다.

참고문헌 작성법의 일정한 형식을 잘 이용하여 논문 작성에 이용한 자료와 연구 문헌을 밝히고 독자에게 관계 문헌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 해소법 관리법  (0) 2020.10.19
음주운전 처벌기준  (0) 2020.10.12
추석 연휴 tv영화 지상파 티비 편성표  (0) 2020.09.28
블랙아웃현상 음주  (0) 2020.09.22
기억력 좋아지는 음식  (0) 2020.08.08
댓글
최근에 달린 댓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