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우리가 몸이 불편해서 병원 간다고 하는데 일반 사람들은 병원은 동네 가까운 의원을 병원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병원과 동네 의원의 차이점에 대하여 알아보자.
우리나라 보건의료는 1차,2차,3차 병원으로 나눌 수 있다.
감기나 몸살 등의 경미한 질환자는 1차 의료기관인 일반의원에서 진료하게 하고,전문의의 진료가 보다 더 필요한 환자는 2차 의료기관인 전문병원에서 진료를 받는다.
그리고 증세가 아주 심각한 질환이나 어려운 수술 등이 필요한 환자는 3차 의료기관이 종합병원에서 진료하게 한다.
질병으로 진료를 받을 때 처음 이를 담당하는 것을 1차 진료라고 한다.
1차 진료의사가 진료를 하고 필요에 따라 전문의사에게 이송을 의뢰하거나 2차 진료기관인 병원 또는 3차 진료기관인 종합병원으로 의뢰한다.
1차 진료의사는 초진을 하여 진료를 보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전문의사나 의료기관에 의뢰를 한다.
보통 동네의원이 1차 진료를 하게 되는데 일부 진료과가 제외되지만 대부분 일반의사에게 진료를 받는다.
1차 의원은 병실침대가 30개 미만의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2차 진료는 해당과 전문의가 진료하는 것을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2차 의료기관은 병원급을 말한다.
병상수가 30개 이상인 의료기관을 병원으로 분류하고 있다.
2차 병원의 경우 병상수가 500개 미만의 병원을 말하는데 보통 한방병원이나 요양병원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3차 진료는 의과대학 부속병원이나 기능상 이에 준하는 병원의 분야별 전문진료를 말한다.
3차 의료기관에는 이러한 3차 진료를 위한 각종 시설과 각 분야별 전문인력이 근무한다.
전문의사가 의과대학의 교수에게 환자의 진단을 의뢰하거나 방사선치료나 기타 특수진료를 해야 하는 환자를 대학 병원급에 보내기도 한다.
3차 진료 병원의 경우에 병상수가 500개 이상으로 상급종합병원이 여기에 해당한다.
그러나 3차 의료기관과 2차 의료기관의 기능이 중복되는 경우가 많아서 의료자원이 낭비되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고 3차 기관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기준 5단계 (0) | 2020.11.01 |
---|---|
서울역 KTX 시간표 (0) | 2020.10.31 |
스트레스 해소법 관리법 (0) | 2020.10.19 |
음주운전 처벌기준 (0) | 2020.10.12 |
참고문헌 작성방법 (0) | 2020.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