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행정학

비정부 조직(NGO)

처음나리다18 2020. 5. 16. 11:29

 

비정부 조직(NGO)은 시민의 자발적 참여에 의해 결성되는 민간단체이며, 공익추구를 목적으로 비영리 활동을 하는 단체를 말한다.

비정부 조직(NGO)의 특징은 정부나 시장과는 구별되는 3영역에서 활동하는 시민의 자발성에 기초한 조직으로서 구성원들을 위해 이윤획득과 배분을 추구하지 않으며 공익을 추구하는 비영리 조직이다.

비정부 조직(NGO)는 어느 정도 지속성이 있는 조직으로 일회성이나 임시적 조직은 NGO가 아니다.

보통 NPONGO를 구별할 때 NPO는 비영리에 초점을 두는 반면에 NGO는 비정부에 초점을 둠으로써 비교된다.

비정부 조직의 형성배경에는 기존의 공공재 공급구조체제에서 충족되지 못한 사회적 수요를 만족 시키기 위해서 등장하였다는 공공재 이론과 공공서비스의 소비자인 시민이 공공서비스의 생산자인 국가권력을 감시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NGO가 등장하였다는 소비자 통제이론이 있다.

이외에도 다원화이론,기업가 이론,보조금 이론 등으로 비정부 조직의 형성배경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비정부 조직 형성의 일반적 요인은 시장실패와 정부실패를 동시에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정부와 시장이 대응하지 못하는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 하였다고 한다.

정부와 비정부 조직과의 관계에서 적대적 관계 보다는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는 동반자적 관계가 점차 일반화 되어 가는 추세이다.

현재는 행정과 시민사회의 관계가 점차상호 협력적인 관계로 바뀌고 있으며 정부의 비효율성과 그에 따른 역기능이 커질수록 시민 사회의 역할은 중요해지고 정부에 대한 시민사회의 영향력도 증대 될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비정부 조직의 증가는 세계적인 추세이며 우리나라에서도 비정부 조직이 급속도로 행창되고 그 역할이 커지고 있다.그러나 비정부 조직의 역할이 커진 만큼 그에 대한 비판도 커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비정부 조직은 주로 집행의 영역에서 공공서비스를 생산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정부와 시장을 보완하는 기여을 하고 있으며 정부와 시장을 견제하거나 공공정책의 형성과 집행에 협력하고 시민들의 민주적 참여를 위한 장을 마련하여 행정에 대한 시민 참여의 효과적 통로로써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반면에 비정부 조직의 한계로는 시민참여 부진으로 비정부 조직의 인적·물적 자원부족전문성 결여의 문제점과 일반시민의 참여부족으로 명망가 중심의 시민운동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그리고 정부나 기업 등 자원 공급자들에게 시민단체가 지나치게 의존적이 되기도 하여 비정부 조직의 자율성과 독자성을 훼손시키기도 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내부운영의 관료화나 사익 추구 또는 조직 내외에 걸친 주도권 다툼 등 일탈적 형태의 발생으로 비판받고 있기도 하다.

 

 

'행정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공무원제  (0) 2020.05.20
마슬로우 욕구이론  (0) 2020.05.20
갈등관리  (0) 2020.05.19
정책네트워크 모형  (0) 2020.05.19
신공공서비스론  (0) 2020.05.18
댓글
최근에 달린 댓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