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신공공서비스는 시민적 담론과 공익을 기반에 두고 거기에 충실하게 통합된 행정을 행정개혁의 목표상태로 하여 이를 처방하는 규범적 모형이다.
신공공서비스론은 공익을 추구하려는 시민의 적극적 역할과 의욕을 존중하며 시민에게 힘을 실어주고 시민에게 봉사하는 정부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신공공서비스론의 제안 배경은 전통적 행정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한다. 정치적 중립, 집권적·폐쇄적 관료제,하향적 통제 등을 강조하는 전통적 행정은 시민에 대한 민주적봉사와 시민의 적극적 가담을 지원하는 데 적합한 행정모형이 아니라는 점을 비판하였다.
그리고 시장기제와 기업가적 운영방식의 도입 등을 강조하는 신공공관리는 사회의 진정한 소유주가 누구인지를 잊고 있으며 시민에게 힘을 실어주고 봉사해야 한다는 책무를 망각하고 있다는 점을 비판하면서 신공공서비스론을 제안 하였다.
신공공서비스론의 이론의 기초는 민주적 시민의 적극적 역할을 강조하고 공무원들이 시민들의 역할을 제대로 인식하고 시민과 권한을 나눠 갖고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 하였다.그러면서 통제는 줄이면서 시민의 요청에 높은 대응성을 보여야 한다는 처방을 마련하였다.
또한 자기 실현적 인간관에 입각한 인간중심적 조직관리를 강조하고 권한과 통제의 문제보다 시민과 공공조직의 종사자 들의 욕구에 관심을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하였다.
덴하르트의 신공공서비론에 따르면 7가지 기본원칙을 강조하고 있는데 그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자.
*공무원들은 공동사회에 대한 책무를 다하려는 시민에게 봉사해야 한다고 하면서 시민에 대한 봉사를 강조하였다.
*공익이란 공유된 가치의 담론의 결과물로 인식해야 하며,공동의 이익과 공동의 책임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공익을 중시 하였다.
*기업가적 관리자 보다는 사회공동체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려는 공무원과 시민에 의행 공익은 증진 된다고 시민의식의 중시를 강조하는 하였다.
*전략적 사고와 민주적으로 행동하라고 강조 하였다.
*복잡하고 다원적인 행정책임을 받아 들여 책임의 다원성을 강조 하였다.
*정부와 공무원은 사회를 조종하는 것이 아니라 봉사해야 한다고 강조 하였다.
*인간을 존중하고 인간을 통한 관리를 강조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