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운동한 후 다음날 근육이 아프고 결리는 것은 근육 안에 젖산이 과다 축척되어 근육통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운동후 근육통을 풀기 위해서는 젖산을 제거해 주는 것이 근육통을 푸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운동 후에 가만히 앉아서 휴식을 취하는 것보다는 가볍게 걸어 다니는 등의 가벼운 운동을 하는 것이 근육에 산소를 더 많이 공급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여 몸에 축적되는 젖산을제거해 주므로 피로회복이 더 빠르다.
이러한 운동 후 근육통 풀기 위해서는 냉찜질이나 온찜질을 해주는 것도 좋지만 무엇보다도 운동후 근육통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동의 단계를 지켜서 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운동후 근육통 풀기 첫 번째는 준비운동이다.
준비운동은 신체가 본격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심박동수,호흡,혈류,체온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주고 관절을 좀 더 유연하게 해준다.
준비운동은 운동 시 상해위험과 부정맥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맨손체조,가벼운 조깅,스트레칭운동 등을 5~15분 시행하면 근육을 풀어주어 운동 후 근육통을 예방할 수 있다.
운동후 근육통 풀기 두 번째는 운동단계를 지켜서 운동을 하여야 한다.
준비운동→본운동→정리운동 순으로 운동단계를 지켜야 한다.
본운동은 걷기,조깅,자전거 타기,수영,에어로빅 같은 지구력 운동을 위주로 실시하고 20~30분 정도 시행하면 목표 심박동수 범위 내에서 실시한다.
운동후 근육통 풀기 세 번째는 정리운동을 잘해야 한다.
정리 운동은 신체를 운동 전의 상태로 안전하게 되돌리기 위한 것으로 이때 운동강도는 서서히 줄여 가야 한다.
운동은 심박동수,혈압,체온,근육내 젖산 농도를 증가시키는데 정리 운동은 심박동수를 점차 저하시키고 부정맥의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그리고 신체의 주요 근육들에 흐르는 혈액량을 서서히 감소시키고 근육 내 젖산을 제거하며 하체에 혈액이 몰리는 것을 막아 그로 인해 나타나는 어지러움을 예방한다.
정리운동은 본 운동 후 5~15분 정도 시행하고 주요 근육들의 움직임이 서서히 감소하도록 걷기, 스트레칭, 숨 크게 쉬기 등으로 마무리 하면 운동후 근육통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외에도 운동후 근육통을 풀기 위한 방법으로는 운동후 탄수화물을 섭취하거나 충분한 수면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수면습관 방법 (0) | 2020.09.14 |
---|---|
고혈압에 좋은 음식 (0) | 2020.09.10 |
면역력을 높이는 방법 (0) | 2020.09.06 |
멘탈 강해지는 법 정신 (0) | 2020.09.04 |
비타민 종류 기능 부족증상 (0) | 2020.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