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연 하늘에 미세먼지 때문에 목이 아프고 기분이 우울하다고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오늘날 오존층 파괴와 같은 기후 변화는 전 지구적인 환경위기가 인류와 지구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위기의 구조적인 원인으로는 자본주의와 산업주의 같은 요인에 기인 한다. 우리 나라도 급속한 공업화와 경제 성장으로 인해 공해병,수질오염,대기오염과 같은 문제는 물론 개발 사업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 문제가 사회문제로 부각되었다. 1990년대 이후 적극적인 환경정책으로 다소나마 환경의 질이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기후변화,원전,미세먼지,화학물질 등으로 인한 환경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환경문제를 단순히 공기와 물의 오염과 같은 물리적인 환경문제가 아니라 인류의 경제,사회,문화를 규정짓는 핵심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로 인식해야 ..
동의보감에는 인사불성이 되거나 가래가 막혀서 호흡이 통하지 않거나 혹은 정신이 혼미 해지거나 언어가 막히고 혀가 잘 돌지 못하고 신경 마비로 입과 눈이 삐뚤어지고 손발이 말을 듣지 않을 때 그때에 우황청심원을 쓰면 좋다고 한다. 우황청심원은 서른 가지의 약물을 꿀로 반죽해서 알사탕만한 크기로 빚어서 금박을 씌운 이 우황청심원은 중풍뿐만 아니라 고혈압,동맥경화증,아이들 경기에도 좋다. 그리고 또 심장 쇠약이나 심장 신경증 이런 증상에도 좋은데 신경성 심장 질환이라고 하는 것은 심장에서 지질적인 병변이 없는데도 마치 심장 질환이 실제 있는 듯이 심장 박동이 약해지거나 일정하게 뛰지 않으며 가슴이 조여드는 듯 아프고 답답하고 또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차고 호흡이 곤란하며 아무렇지도 않은 일에 가슴이 후다닥 거..
사회문제란 개인문제와 달리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을 말한다. 각 개인의 차원에서 볼때는 개인적인 문제 일지라도 공통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이 사회 문제인 것이다. 사회문제가 발생하면 개인,사회,국가,또는 국제사회에서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어떤 반응이나 행동을 취하게 되는데 다시 말해서 사회문제는 관심을 가지고 공론을 통하여 해결하여야 하는 공적 문제인 것이다. 따라서 사회 문제는 지속적인 관심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어떤 문제는 개인적인 문제인 것 같지만 실제로는 사회문제이거나 그 반대인 경우도 있어서 늘 양자의 관계는 경계가 모호 할때도 있다. ‘사회’ 또는 ‘사회적’ 이라는 말은 두사람 이상의 복수 개인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고 동시에 인간사회에서 사람과 사람이 교류하고 친교한다는 의미를..
매실이 좋은 건 다 알지만 특히 갱년기 여성과 성장기 아이들에게 좋은 식품이 매실로 만든 매실 조청이다.. 매실 조청은 매실이 한창 나오는 6월경에 덜 익은 청매를 잘 씻어 물기를 완전히 뺀 다음 껍질을 벗기고 씨를 발라낸 후에 과육만을 취하여 강판에 갈거나 믹서에 넣고 간다. 이것을 약 짜는 면 천으로 꼭 짜서 즙을 내어 도자기 그릇이나 법랑 냄비에 넣어 센 불에서 한번 끓였다가 약한 불에서 주걱으로 잘 저어 밑이 눌어붙지 않게 주의하면서 걸쭉하게 고아 조청처럼 만든다. 즙의 색깔이 갈색으로 변하고 거품이 나면 주걱으로 떠 본다. 꿀을 떠 보았을 때처럼 끈적하고 질질 늘어나는 실이 생길 정도로 끈기가 생겼으면 완성된 것으로 보면 된다. 이 매실 조청을 소독하여 말린 용기에 잘 밀봉해서 냉장고에 보관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