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에는 인사불성이 되거나 가래가 막혀서 호흡이 통하지 않거나 혹은 정신이 혼미 해지거나 언어가 막히고 혀가 잘 돌지 못하고 신경 마비로 입과 눈이 삐뚤어지고 손발이 말을 듣지 않을 때 그때에 우황청심원을 쓰면 좋다고 한다. 우황청심원은 서른 가지의 약물을 꿀로 반죽해서 알사탕만한 크기로 빚어서 금박을 씌운 이 우황청심원은 중풍뿐만 아니라 고혈압,동맥경화증,아이들 경기에도 좋다. 그리고 또 심장 쇠약이나 심장 신경증 이런 증상에도 좋은데 신경성 심장 질환이라고 하는 것은 심장에서 지질적인 병변이 없는데도 마치 심장 질환이 실제 있는 듯이 심장 박동이 약해지거나 일정하게 뛰지 않으며 가슴이 조여드는 듯 아프고 답답하고 또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차고 호흡이 곤란하며 아무렇지도 않은 일에 가슴이 후다닥 거..
사회문제란 개인문제와 달리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을 말한다. 각 개인의 차원에서 볼때는 개인적인 문제 일지라도 공통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이 사회 문제인 것이다. 사회문제가 발생하면 개인,사회,국가,또는 국제사회에서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어떤 반응이나 행동을 취하게 되는데 다시 말해서 사회문제는 관심을 가지고 공론을 통하여 해결하여야 하는 공적 문제인 것이다. 따라서 사회 문제는 지속적인 관심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어떤 문제는 개인적인 문제인 것 같지만 실제로는 사회문제이거나 그 반대인 경우도 있어서 늘 양자의 관계는 경계가 모호 할때도 있다. ‘사회’ 또는 ‘사회적’ 이라는 말은 두사람 이상의 복수 개인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고 동시에 인간사회에서 사람과 사람이 교류하고 친교한다는 의미를..
매실이 좋은 건 다 알지만 특히 갱년기 여성과 성장기 아이들에게 좋은 식품이 매실로 만든 매실 조청이다.. 매실 조청은 매실이 한창 나오는 6월경에 덜 익은 청매를 잘 씻어 물기를 완전히 뺀 다음 껍질을 벗기고 씨를 발라낸 후에 과육만을 취하여 강판에 갈거나 믹서에 넣고 간다. 이것을 약 짜는 면 천으로 꼭 짜서 즙을 내어 도자기 그릇이나 법랑 냄비에 넣어 센 불에서 한번 끓였다가 약한 불에서 주걱으로 잘 저어 밑이 눌어붙지 않게 주의하면서 걸쭉하게 고아 조청처럼 만든다. 즙의 색깔이 갈색으로 변하고 거품이 나면 주걱으로 떠 본다. 꿀을 떠 보았을 때처럼 끈적하고 질질 늘어나는 실이 생길 정도로 끈기가 생겼으면 완성된 것으로 보면 된다. 이 매실 조청을 소독하여 말린 용기에 잘 밀봉해서 냉장고에 보관하면..
우리가 알게 모르게 자주 섭취하는 음식 중에 식초가 있다. 식초는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이 되는 건강음료로 물과 희석해서 음료수처럼 마시는 경우가 있다. 스트레스가. 쌓이게 되면 칼슘 성분이 부족해지게 되는데 이때 식초를 먹으면 도움이 된다고 한다. 우리가. 냉면을 먹을 때 냉면에 식초를 많이 넣고 먹어도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이 없을 것이다. 식초의 효능 중에는 이와 같이 스트레스 해소뿐만 아니라 탁한 혈액을 맑게하는 작용도 있다. 식초는 혈액의 대사도 빨리 해주고 그래서 동맥경화를 예방해 주고 혈압도 떨어 뜨린다. 산성화 체질을 막아 주어 더위가 시작되는 계절에 가종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초는 지혈작용을 하는 효능이 있다.혈액을 보호하는 효능이 있어 코피 나..
기력이 약하면 매사 의욕이 없어진다. 이럴 때 기력에 좋은 음식 중에 하나가 인삼이다. 인삼에 물을 붓고 어느 정도 끊으면 인삼을 건저내고 그 물에 찹쌀을 넣고 죽을 쑤는데 인삼 죽에 엿기름가루를 넣어 식힌 다음 그 물만 받아 졸이면 인삼 조청이 된다. 기는 우리들 몸에 있는 에너지이다. 이 에너지를 잃으면 무기력증에 빠지게 된다. 사람이 기력이 부족하면 자신이 어떤 사적인 일에서 무엇을 추구하다가 일도 제대로 이루러지지 못하고 주위로부터 억울한 감정도 느끼게 되고 고민하다가 음식 맛도 잃어간다. 기력이 부족하면 얼굴이 누렇게 되면서 몸이 야위고 가슴이 더부룩하고 무언가 아래서부터 얼굴까지 기가 쭉 올라오는 것처럼 항상 치밀어 오는 것 같아서 가슴도 답답하고 아주 숨이 가빠오는 바람에 불면증까지 생기게 ..
매실은 보통 우리가 요리할때 약방에 감초처럼 자주 넣는 것으로 많이 알고 있다. 매실은 여성에게 아주 좋은데 매실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6,7월에 나는 푸른 매실을 청매라고 하고 ,나무에서 노랗게 익은 상태에서 따낸 매실을 황매라고 한다. 매실의 종류 중에서 푸른 매실을 소금물에 담가 볕에 건조한 것을 백매라고 하고 약으로 쓸 수 있게 특별히 가공된 것을 오매라고 한다. 오매는 껍질과 씨를 발라내고 짚불에 검게 그을린 다음 말린 것으로 건재약국에서 사계절 구입이 가능하다. 가정에서는 매실이 한창인 때에 덜 익어 푸른 청매 종류를 구해서 장아찌나 조청이나 술로 담가 가정상비약으로 많이 이용한다. 매실에는 다른 식품니 미치지 못할 만큼 칼슘과 인,칼륨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이 유기산이 들어가 있다. 매실은 ..
부인과와 관련된 약초인 익모초의 효능에 대하여 알아보자. 월경불순, 월경통이 심해서 고통을 호소하는 여성 분들이 많다. 특히 학교 여학생들은 조금만 신경쓰고 성적이 떨어지거나 하면 한 두달 월경이 안나오는 월경불순을 경험하게 된다. 그럴때는 익모초가 좋다고 한다. 익모초는 이름 그대로 ‘익’은 이라는 글자는 도움을 준다는 뜻이고 ‘모’라고 하는 것은 어미 ‘모’‘자를 쓰니까 여성들에게 굉장히 유익한 효능이 있는 것이 익모초라고 한다. 익모초를 끓여서 조청처럼 만들어서 먹이거나 차처럼 먹이거나 아니면 가루를 내어 환약으로 만들어 먹이면 월경 불순에 굉장히 좋다고 한다. 익모초를 우리말로 ‘암눈비아’이라고 불리는데 항간에서는 익모초를 잘못 알고 ‘육모초’라고도 부르는데 육모초는 잘못된 말이다. 두해 살이 풀..
많은 여성들의 소망 가운데 하나가 날씬해지고 싶다고 이라고 한다. 그러나 요즘은 비만이 질병으로 인식되어 체중감량을 위해 노력하는 것은 이제 여성뿐만 아니라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일이 되었다. 다이어트를 운동과 병행하여 우리가 먹는 음식과 차가 위한 비만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준다고 한다. 살이 빠지고 비만에 좋은 음식과 차에 대하여 알아보자. 배차는 간 기능을 원활히 하여 지방 축적을 줄이고 비만에 좋은 차이다. 먹는 방법은 배 껍질을 벗겨 4등분하고 심지 부분을 도려낸 후 얇게 썰어 그릇에 넣고 배가 잠길 정도로 식초를 부어 냉장고에 보관한다.. 2일 후에 약 10그램 정도를 컵에 담고 여기에 따끈한 물을 부어 10분쯤 우려내어 마시면 되는데 하루에 3번 식간 공복에 마시면 비만에 좋다고 한다...